이수진, 여성도구 최수지(2024). 한국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와 평가도구 분석: 심층 면담을 통한 연구(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현대 사회에서 난임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가임기 부부의 12.6%가 난임을 겪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내에서는 가임 여성 2,274명을 대상으로 한 단면 연구에서 19.48%가 난임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도구 만혼, 유산, 호르몬 균형을 저해하는 장기간의 피임방법 사용의 증가, 비만, 운동 부족, 스트레스, 환경오염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다. 64p이 연구는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양상 및 그에 대한 대응 태도를 이해하기 위해 사전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을 활용한 내러티브 연구로 설계되었다. 연구는 여성도구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인구학적 정보와 난임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심층적인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64p연구도구1) 난임 및 스트레스 측정 도구 65~66p숫자 평가 척도(Numeric Rating Scale-11, NRS-11)스트레스 측정 도구(Stress Questionnaire for KNHANES(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여성도구 Survey))난임 스트레스 대처 측정 도구(Coping Scale for Infertility-Women, CSI-W)한국형 Conner-Davidson 자아탄력성 척도(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K-CD-RISC)난임 적응도구(Fertility Adjustment Scale, FAS)배우자 지지도구(Husband Support Scale)2) 기존 난임 스트레스 평가도구 66p불임 스트레스 척도(Infertility Stress Scale)난임 문제 목록(Fertility Problem Inventory, FPI)결과난임 여성도구 치료 시술 중 In Vitro Fertilization/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IVF/ICSI) 여부는 자아탄력성 점수와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9p난임 스트레스 양상 및 정도 (70~75p)(1) 난임 그 자체로 인한 스트레스① 걱정/불안② 우울감③ 무력감④ 후회감⑤ 조급함(2) 치료 검사 과정에서의 스트레스① 치료 과정에서 정신적, 여성도구 신체적 고통② 치료 과정에서 오는 신체적 변화와 건강에 대한 걱정③ 검사 결과에 대한 불안과 긴장감④ 반복되는 실패와 기대로 우울⑤ 병원 방문 및 치료시간 맞추기 어려움⑥ 비용 부담(3) 배우자로 인한 스트레스① 예민함② 상처받는 말③ 부부관계 문제(4) 친정, 시댁 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① 여성도구 상처받는 말과 행동② 소외감③ 부담감(5) 친구, 직장 동료로 인한 스트레스① 소외감② 부러움, 질투③ 업무 시간 조절의 어려움④ 상처받는 말⑤ 사회적인 시선⑥ 인간관계의 축소(6) 기타 스트레스 원인① 정보를 얻는 과정② 여성으로서의 역할결론IVF/ICSI의 치료가 실패로 끝날 경우 누적되는 심리적 부담을 반영한다. 또한 여성도구 면담 내용을 텍스트 마이닝 한 결과, 응답자들이 언급한 중요한 키워드로는 불안, 우울, 부담감, (임신) 결과, 건강 등으로 나타났다. 난임 여성들은 난임 그 자체, 치료 검사 과정, 배우자, 친정 및 시댁 가족, 친구 및 직장 동료와의 관계에서 다양하고 복합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여성도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1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