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1장 에세이쓰기 전략적 에세이 탐구나를 위해 시작하는 에세이 쓰기독자의 시선으로 본 에세이의 매력일기를 에세이로 바꾸는 2가지 포인트알맹이를 만드는 의미화된 메시지의미화를 녹여내는 사건의 고찰점재밌게 읽히는 글, 소설처럼 쓰기에세이는 형식이 없는 글 일까?메시지 전달 형식, 5가지 방향2장 자전적 에세이 시작초보자를 위한 공유일기 쓰는 방법쓰고 싶은 주제와 글이 써지는 글감내면의 글감을 찾는 기준 3가지대상에게 말하는 느낌으로 글쓰기하고 싶은 에세이쓰기 말이 넘쳐야 책이 써집니다소비되는 문장이 내 글에 있나요?이야기를 솔직하게 쓰기 겁이 난다면독립 출판을 목표로 시작해보기 3장 독자가 중요한 기획에세이 책의 작가와 독자의 관계독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답이 되는 메시지구매 심리에 따른 3가지 독자 유형작가의 호감표시로 책은 판매된다독자와 소통을 잘하는 작가의 가능성상품을 만드는 콘텐츠와 콘셉트고민보다 행동, 집중력과 지속력4장 글쓰기 방법과 실습짜임새 있는 구성, 문단과 문장김장감을 에세이쓰기 끌어내는 문단 구조문장에 재미를 주는 참신한 연출장면이 그려지도록 구체적인 묘사감성을 살려주는 표현 활용주목성을 높이는 함축적 시구문장력을 높이는 집필 방법 7가지초고보다 중요한 퇴고 일기를 좀 더 표현감 있고 써보고 싶었고그로 인해 에세이 처럼 풀어보고 싶은 마음에읽게 된 2번째 책. 옛날에 읽은 김민식 PD의 매일 써봤니? 란 책이 떠오르기도 했고뭔가 글을 쓸 때 도움이 될 에세이쓰기 수 있을 것 같았다책 요약과 내 생각들글에서 가장 중요하게 얘기하는 건누군가에게 보여지는, 그러니까 명확한 독자를설정하고 그들에게 맞는 이야기를 '의미있게, 재미있게'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통 우리는 글을 쓸 때 독자를 고려하지 않을 때가 많다. 특히 일기 형식으로 나열할 때가 많은데 일기가 에세이 형식으로 발전하려면누군가가 이 글을 읽는 다고 가정하고이야기에 나만의 메시지를 담는게 중요하다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은 에세이쓰기 나라는 사람의 행동이나 과정에서 가치관을 강화할 수 있는 깨달음 등을글에서 뽑아내면 그게 의미있는 글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특히 4장에서 구체적인 쓰는 방법에 대해몇 가지 알려 주는데 전체 글을 쓸 때의 흐름을미리 사전에 기획하고 문단끼리의 연결을 고려해야 한다는 부분이나 구체적 표현,감성을 살려주는 표현을 활용하는 법 등은실용적인 것 같아서 아래에 좀 더 구체적으로 정리해놓으려고 한다근데 에세이쓰기 생각해보면 일기는 그냥 나열해서 썻는데블로그 글 쓸때는 나름 쓰기 전에 기획하고흐름을 정해 놓고 썼던듯!사진이 있어서 그게 편했던 것 같기도 한데그 방식을 일기와 에세이에 적용해보자는 마음도 들었다.실천에 참고할 만한 방법들표현을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오감을 다 활용하여 묘사를 하고 숫자나 지명, 위치 등에서 진짜 있었 던 곳의내용을 쓰면서 머릿 속에 그릴 수 있도록,그리고 시대적 공감이 에세이쓰기 갈 수 있는 표현들도 추가하기글에 공감을 주며 참신한 의미는사실 보면서도 쉽지 않은 부분이라고 생각했음우선적으로는 참신한, 그러니까 보편적이지 않는 내용으로 전개를 하고 그걸 공감가는 포인트로 확장시켜 나가는 것으로 이해함문단을 맛깔나게 읽히게 하려면 쓸 수 있는 방법은 두번째가 그래도 나에겐 맞는 듯.문장길이 조절을 통한 강약조절!마치며알고 있었으면서도 사실 가장 하기 어려운게 초고를 빠르게, 퇴고를 중요하게..!!항상 글 에세이쓰기 쓰면 쓰는 과정이 너무지난하기 때문에 끝나갈 때 쯤뭔가 부족해도 마무리 할 때가 많았는데이 부분에 좀 더 신경 쓰며 글을 써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근데 이 글도 쓰고 퇴고는 안할 듯..ㅋㅋㅋ블로그 글 쓰고 퇴고하시는 분 손 좀 들어주세요...그래도 책 읽었으니 일기, 에세이 여튼 한번 써보도록 하자작가님이 강조하신 부분도 우선은 써보자!!실행이 우선이고 그 뒤에 고쳐나가고개선해 나가야 에세이쓰기 한다고 말씀 하셨으니